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치료16

요로 결석 증상 진단 치료 예방 요로 결석이란? 요로 결석이란 요로에 결석(돌)이 생긴 질환입니다. 요로는 소변이 생성되어, 이동, 배설되는 길을 말하며, 신장, 요관, 요도 등이 있습니다. 신장에 결석이 발생하면 신장 결정, 요관에 결석이 발생하면 요관 결석이라고 합니다. 요로 결석 증상 요로 결석은 갑작스러운 옆구리 통증을 유발합니다. 통증의 강도가 매우 심하여 대부분 응급실을 방문하게 됩니다. 소변을 볼 때 혈뇨가 나와서 소변 색깔이 빨갛게 보이기도 합니다. 구역, 구토, 소화 불량과 같은 소화기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요로 결석 진단 요로 결석은 증상, 신체 검진, 소변 검사, 방사선 검사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해 결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는 보이지 않는 결석도 있습니다. .. 2024. 2. 8.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진단 치료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질병의 초기에는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발생합니다. 이후 질병이 진행되면서 주위 연골과 뼈로 염증이 진행되어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하게 됩니다.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주로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손가락 마디가 뻣뻣해지는 증상을 경험합니다. 1시간 정도 손가락을 움직여 주면 뻣뻣한 증상이 완화됩니다. 또한 손가락 마디고 붓고 통증이 느껴집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오래 지속되면 손가락 관절에 변형이 발생하여 손가락이 특징적으로 휘어진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손가락 관절 외에도 무릎이나, 팔꿈치, 발목, 어깨, 발까지 염증이 발생하여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흔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 2024. 1. 28.
강직성 척추염 증상 진단 치료 강직성 척추염이란? 강직성 척추염이란 척추 관절에 염증이 생기고 강직이 생겨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만성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HLA-B27 유전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증상 강직성 척추염은 대부분 16~35세 사이의 젊은 남성에게서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허리 통증입니다. 주로 잠을 자고 일어나서 허리가 뻣뻣해지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낮에 활동하다 보면 통증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허리 외에도 엉덩이 관절, 어깨 관절, 갈비뼈 등에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근골격계 외에도 다른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환자의 25%에서 눈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드물게는 심장, 신장, 대장 등에 염증 관련 증.. 2024. 1. 25.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의 증상 진단 치료 오십견이란? 오십견이란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고,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오십견은 50세뿐만 아니라 30~40대에도 발생 가능합니다. 오십견이라는 용어는 50세에 국한된 어깨 질환을 의미하므로 올바른 용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더 정확한 용어인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오십견 증상 대부분 50세 이후에 증상이 발생하지만, 30, 40대에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부분분 특별한 외상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합니다. 오십견의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와 운동 부족과 관련이 된다고 합니다. 어깨 관절에 심한 통증을 보이며, 야간에 통증을 호소하여 수면 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어깨의 관절 운동이 제한됩니다. 어깨의 전방 거상.. 2024. 1. 16.
공화장애(Panic disorder) 증상 진단 치료 공황장애란? 공황장애란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특별한 이유 없이 예상치 못하게 갑자기 극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심한 불안과 초조감, 줄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며, 심계항진, 호흡곤란, 흉통, 어지러움 등의 신체 증상 또한 함께 경험하게 됩니다.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 환자들은 갑자기 특별한 이유없이 공황발작(Panic attack)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공황발작이란 극도의 공포심이 느껴지면서 심장이 터지도록 빨리 뛰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땀이 나는 등의 신체 증상을 보이는 극도의 불안 증상을 말합니다. 공황발작은 예상치 못하게 반복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환자들은 증상이 없을 때도 증상이 발생할까 봐 미리 두려워하게 됩니다. 공황발작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입.. 2024. 1. 14.
Left anterior fascicular block(좌전섬유속 차단)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심방을 수축시킵니다. 동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중격의 아래쪽, 삼첨판막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에 위치한 방실결절(AV node)로 이동합니다. 이후 전기 자극은 His Bundle을 통해 이동하며, 이는 우각(Right budle branch)과 좌각(Left bundle branch)으로 나누어져 각각 우심실과 좌심실로 전기를 이동시킵니다. 이후 Purkinje 섬유로 분지 하여 전기를 이동시켜 좌심실과 우심실을 수축시킵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Right budle branch & .. 2024.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