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약물 종류 기전 부작용
1. 스타틴(statin) 계열 약물 -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콜레스테롤의 전단계 물질인 메발론산이 생성되는 단계를 차단하여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 종류: 로수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리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부작용: 근육통, 두통, 당뇨병 발생 위험 증가, 간기능 이상, 신기능 이상 등 2. 에제티미브 - 음식으로 섭취한 콜레스테롤이 소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억제- LDL-C 감소 효과- 단독 혹은 다른 고지혈증 치료 약물과 함께 사용- 부작용: 두통, 피로, 복통, 설사, 간기능 이상, 구토, 발진 등 3. 피브레이트 제제 - PPAR-alpha 효능제로 작용- 아포지단백 C-III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방해)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아포지단백 A-I(고밀도지단백의..
2024. 7. 24.
급성 췌장염 증상 진단 치료
급성 췌장염이란? 급성 췌장염이란 음주, 담석,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급성 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담석과 음주이며, 고중성지방혈증, 약물, 복부 손상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급성 췌장염 증상 급성 췌장염의 주요 증상은 복통입니다. 상복부 쪽의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며, 등 쪽이나 좌측 옆구리로 통증이 뻗어 나가기도 합니다.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주로 허리를 앞으로 굽이고 무릎을 끌어당긴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음식 섭취에 의하여 통증이 악화되어, 구토, 구역 증상을 동반합니다. 담석으로 인한 췌장염 발생 시 황달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급성 췌장염 진단 의사가 증상 및 신체 검사를 통해 급성..
2024.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