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증상16 [건강검진]1도 방실차단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1도 방실차단이란? 건강검진에서 심전도를 찍다 보면 간혹 1도 방실차단이라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1도 방실차단은 심전도 검사상 PR interval이 0.2s 이상으로 길어진 것입니다. 참고로 PR interval은 정상적으로 0.12s~0.2s 사이입니다. PR interval은 동방결절(SA node)에서 만들어진 전기자극이 심실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R interval이 길어졌다는 것은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자극이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심장 전기 전도계 -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 2024. 1. 12. 좌각차단(LBBB)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심방을 수축시킵니다. 동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중격의 아래쪽, 삼첨판막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에 위치한 방실결절(AV node)로 이동합니다. 이후 전기 자극은 His Bundle을 통해 이동하며, 이는 우각(Right budle branch)과 좌각(Left bundle branch)으로 나누어져 각각 우심실과 좌심실로 전기를 이동시킵니다. 이후 Purkinje 섬유로 분지 하여 전기를 이동시켜 좌심실과 우심실을 수축시킵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Right budle branch & .. 2024. 1. 9. WPW 증후군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심방을 수축시킵니다. 동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중격의 아래쪽, 삼첨판막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에 위치한 방실결절(AV node)로 이동합니다. 이후 전기 자극은 His Bundle을 통해 이동하며, 이는 우각(Right budle branch)과 좌각(Left bundle branch)으로 나누어져 각각 우심실과 좌심실로 전기를 이동시킵니다. 이후 Purkinje 섬유로 분지 하여 전기를 이동시켜 좌심실과 우심실을 수축시킵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Right budle branch & .. 2024. 1. 5. [건강검진]우각차단 심전도 증상 치료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심방을 수축시킵니다. 동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중격의 아래쪽, 삼첨판막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에 위치한 방실결절(AV node)로 이동합니다. 이후 전기 자극은 His Bundle을 통해 이동하며, 이는 우각(Right budle branch)과 좌각(Left bundle branch)으로 나누어져 각각 우심실과 좌심실로 전기를 이동시킵니다. 이후 Purkinje 섬유로 분지 하여 전기를 이동시켜 좌심실과 우심실을 수축시킵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Right budle branch & .. 2024. 1.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