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항목 중에 소변 검사에 유로빌리노겐이 있습니다. 유로빌리노겐 약양성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시죠? 지금부터 유로빌리노겐의 의미, 정상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로빌리노겐(Urobilinogen)이란?
혈관 속 적혈구가 파괴되면 적혈구의 구성성분인 헤모글로빈은 빌리루빈으로 분해되어 담즙과 함께 장내로 배설됩니다. 빌리루빈은 장내 세균에 의해서 분해되어 유로빌리노겐으로 변하게 됩니다. 유로빌리노겐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설되지만, 일부는 장에서 재흡수되어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 일부는 간에 의해 담즙으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유로빌리노겐은 정상뇨에서도 볼 수 있는 성분입니다.
정상치, 이상치
정상치 | 위양성(±), 약양성(+) |
이상치 | 음성(-), 양성(++) |
앞서 살펴보았듯이 재흡수된 유로 빌리노겐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서도 유로빌리노겐이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로빌리노겐의 정상치는 위양성(±), 약양성(+) 입니다. 하지만 소변 검사에서 유로빌리노겐이 음성(-)을 보이거나, 일반적인 양보다 많이 검출되는 양성(++)을 보이는 경우 이상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이상치 해석
유로빌리노겐 음성(-)의 경우 담석이나 담도암에 의해 담즙이 장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폐색성 황달(담석증, 담도암)에서 유로 빌리노겐 음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유로빌리노겐 양성(++)은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병 또는 용혈성 황달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로빌리노겐 음성(-) 또는 양성(++)의 결과가 나왔을 때는 다음과 같은 질병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전문의의 진료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진단 검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지방(TG) 정상 수치와 상승의 임상적 의의, 낮추는 법 (0) | 2023.10.27 |
---|---|
건강검진 신기능 검사 Creatinine 수치 상승 임상적 의의 (0) | 2023.10.26 |
건강검진 간기능 검사 ALP 수치 상승의 원인, 의미 (2) | 2023.10.24 |
(건강검진)간기능 검사 r-GTP 수치 상승의 의미 및 낮추는 법 (1) | 2023.10.20 |
(건강 검진)TSH 검사, 갑상선 자극 호르몬, 정상 수치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