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에 의하며 움직입니다. 먼저 우심방과 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심방을 수축시킵니다. 동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심방중격의 아래쪽, 삼첨판막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에 위치한 방실결절(AV node)로 이동합니다. 이후 전기 자극은 His Bundle을 통해 이동하며, 이는 우각(Right budle branch)과 좌각(Left bundle branch)으로 나누어져 각각 우심실과 좌심실로 전기를 이동시킵니다. 이후 Purkinje 섬유로 분지 하여 전기를 이동시켜 좌심실과 우심실을 수축시킵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Right budle branch & Left bundle branch → Purkinje fiber
좌각차단이란?
심장은 위에 설명한 전기 전도계를 따라 이동하는 전기 자극에 의하여 움직입니다. 좌각차단은 심장 전기 전도계 중 좌각을 통한 전기 자극의 흐름이 차단된 경우를 말합니다.
좌각차단 심전도 소견
QRS > 120ms
QS or small r wave with large S wave in V1
braod notched R wave and no Q wave in I, aVL, V5, V6
좌각차단 증상
좌각차단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좌각차단은 동반된 심장 질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므로, 동반 심질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좌각차단 치료
좌각차단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치료가 없습니다. 하지만 좌각차단은 심장 질환이 동반될 가능성이 큽니다. 좌각차단은 심근경색, 심근병증, 심근염증 등의 심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동반 심장 질환에 대한 평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심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ft anterior fascicular block(좌전섬유속 차단)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0) | 2024.01.13 |
---|---|
[건강검진]1도 방실차단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0) | 2024.01.12 |
WPW 증후군 증상 치료 심전도 소견 (1) | 2024.01.05 |
[건강검진]우각차단 심전도 증상 치료 (1)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