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도서 '스포츠 손상 심리학' 리뷰

by newmj81 2023. 11. 25.
반응형

도서 '스포츠 손상 심리학'

 

책의 개요

 

'스포츠 손상 심리학'은 운동선수들이 부상을 당한 뒤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에 초점을 둔 책입니다. 일반적으로 선수들이 부상을 당하면 부상당한 선수의 신체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재활을 진행하게 됩니다. 부상 재활에 있어서 신체적인 부분은 아주 중요합니다. 하지만 부상은 당한 선수는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고통받기도 합니다. 이 책은 부상을 당한 선수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반응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생물심리사회적  접근법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부상 선수를 재활하는 의사, 물리치료사, 재활 트레이너, 스포츠 심리 상담사에게 도움이 될 책으로 생각됩니다. 

 

저자

 

이 책의 저자는 Charles J.Redmond와 Britton W.Brewer 입니다. Charles J.Redmond는 Springfiled College에서 Science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Britton W.Brewer는 Arizona State University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스포츠 손상 심리학'이라는 책 제목과 맞게 스포츠와 심리학의 전문가가 함께 이 책을 집필하였습니다. 

 

목차

 

서론: 스포츠 손상에 대한 현대적 접근법


제1부 스포츠 손상의 이해와 예방

제1장 스포츠 손상의 생물심리사회적 접근
1. 생물심리사회적 견해
2. 생물학적 토대
3. 심리적 토대
4. 사회적 토대
5.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6. 요약

제2장 스포츠 손상의 선행 요인
1. 스포츠 손상 발생 모델
2. 스포츠 손상의 심리사회적 예측인자
3. 스포츠 손상 발생에 대한 심리사회적 영향의 메커니즘
4.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5. 요약

제3장 스포츠 손상 예방
1. 예방의 종류
2. 스포츠 손상 예방 모델
3. 스포츠 손상 예방의 내용 범주
4.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5. 요약


제2부 스포츠 손상의 결과

제4장 스포츠 손상에 대한 심리적 반응
1. 스포츠 손상에 대한 심리적 반응 모델
2. 스포츠 손상의 심리적 결과
3.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4. 요약

제5장 통증, 스포츠 그리고 부상
1. 통증의 정의
2. 통증의 종류
3. 통증의 범위
4. 통증의 측정
5. 통증의 모델과 이론
6. 스포츠에서 통증과 연관된 요소
7. 스포츠 관련 통증에 대한 해석과 행동
8.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9. 요약
제3부 스포츠 손상의 재활

제6장 스포츠 손상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 준수
1. 스포츠 손상 예방 프로그램 준수
2. 스포츠 손상 재활 프로그램 준수
3. 스포츠 손상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 준수 결과
4.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5. 요약

제7장 스포츠 손상 재활에서의 심리적 요인
1. 스포츠 손상 재활 결과
2. 심리적 요인이 스포츠 손상 재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3. 스포츠 복귀를 위한 심리적 준비
4.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5. 요약

제8장 스포츠 건강관리에서의 심리적 개입
1. 심리적 개입
2.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3. 요약


제4부 스포츠 손상 관리에서의 소통

제9장 환자와의 소통
1. 환자-의료진 소통의 맥락
2. 환자-의료진 관계 모델
3. 환자-의료진 소통의 기능
4. 환자-의료진 소통의 방식
5. 환자-의료진 인식 일치
6. 환자-의료진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환자-의료진 소통의 향상
8.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9. 요약

제10장 심리 서비스를 위한 선수 의뢰
1. 의뢰의 정의 및 의뢰를 위한 근거
2. 의뢰의 사회임상학적 맥락
3. 의뢰의 이유
4. 의뢰 절차
5. 생물심리사회적 분석
6. 요약

 

핵심 내용 및 나의 생각

 

이 책은 선수들의 부상을 생물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 접근법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선수들의 부상 이후 반응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러한 부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재활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상의 생물학적 측면은 부상 당한 부위의 염증 반응, 회복 과정, 심각도 등을 말합니다. 생물학적인 측면은 부상 재활 결과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상의 심리학적 측면은 선수들이 부상 이후 겪게 되는 불안, 우울, 트라우마와 같은 심리적 반응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부상의 사회적 측면은 부상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설명합니다. 선수들은 부상을 당하고 통증이 있음에도 참고 경기를 뛰어야 한다는 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상 선수들에게 정보적, 정서적, 실질적 지원을 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있다면 재활 결과에 훨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사람의 건강을 논할 때 국소적인 증상에 초점을 두는 것보다 그 사람의 전반적인 모든 것을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부상을 당한 선수들을 재활할 때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부상을 생물심리사회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선수의 전체적인 부분을 고려하는 것으로 재활 결과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선수의 부상을 다루는 의사, 물리치료사, 트레이너, 스포츠 심리상담사 모두 생물심리사회적 접근법으로 부상 선수를 대한다면, 선수가 더 빨리, 더 좋은 결과로 부상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